본문 바로가기

언어치료

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아동과의 관계형성 방법

부모가 도와주기만 하면
- 부모는 아동을 위하여 보다 쉽고 빠르게 필요한 일들을 해 주고 싶어한다.
그러나 부모가 너무 자주 도와주면 아동은 학습할 기회를 놓치게 된다

부모가 너무 서두르면
- 부모는 너무나 많은 것을 얻으려고 애쓴다
그러나 부모가 너무 서두르면 아동의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없게 된다.

부모가 교사처럼 행동하면
- 부모는 너무 많은 말을 하게 된다.
그러나 아동은 할 일을 지시 받았을 때가 아니라 직접 행동을 해 봄으로써 더 잘 배우게 된다.

부모가 쉬고 싶을 때
- 부모는 지치거나 좌철해서 쉬고 싶을 때가 있다.
그러나 아동이 정말로 당신과 함께 하기를 원할 때, 부모가 너무 자주 쉬게 된다면 함께 놀앙주고 학습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시간들을 놓치게 된다.

부모가 아동에게 잘 맞추어 줄 때
- 부모는 아동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며 아동의 경험을 함께 나누게 된다. 이때 아동은 자신이 인정받고 있으며, 또한 자신이 특별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갖게 된다. 부모가 아동에게 잘 맞추어 줄 때 아동의 자아인식이 향상되며 학습에 대해서도 눈을 뜨게 된다.

아동에게 잘 맞추어 주는 부모는 3a 방법으로 하루를 보내게 된다.

3a 방법이란
아동이 이끄는 대로 따르기
순간공유에 적응하기
새로운 경험과 말을 첨가시키기

[출처 - 엄마도 할 수 있어요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