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문(syntax)은 언어의 형식과 관계되는 것인데, 아동이 구문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형태소가 어떻게 결합하여 낱말을 이루고, 낱말이 어떻게 배열되어 구나 문장을 이루며, 구나 문장이 어떻게 접속 또는 연결되어 좀 더 복잡한 발화를 형성하는가에 대한 규칙을 습득해야 한다.
1) 평균발화길이 분석
평균발화길이는 언어, 특히 구문 발달의 척도가 된다. 발화길이는 형태소나 낱말로 산출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데, 그 수치는 전체 형태소가 낱말의 수를 전체 문장의 수로 나누어 산출한다.
2) 문법형태소 분석
격조사나 문장어미, 시제나 존칭, 품사형태 등을 나타내는 형식형태소들의 발달은 구문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
1.복수 : 체언에 붙어서 수를 나타낸다
- 들
- 희(너희)
2. 격조사 : 체언에 붙어서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한다
주격:-가
-이
목적격 : -을
-를
관형격 : -의
서술격 : -(이)다, -이요, -인지
보격 : -가(예 :엄마가 아니다)
호격 : -야
부사격
처소 : -(으)로, -에, -에게, -에게로, -한테로
도구 : -로(써)
비교 : -과, -처럼, -만큼, -보다
동반 : -와, -하고, -(이)랑
변성 : -로
인용 : -(라)고
3. 접속소자 : 둘 이상의 체언을 같은 자격으로 접속시킨다
- 하고
-이며
-에다
-랑
4. 보조사(특수조사) : 체언에 뜻을 더해 주는 조사이다
-만
-도
-은/-는
5.시제 : 동사에 붙어서 때를 나타낸다
현재형 : -ㄴ-, -는-
과거형 : -었-, -았-, -였-
미래형 : -겠-, -(으)ㄹ
6. 태 : 동사에 붙어서 자동사나 타동사를 만든다
피동형 : -이-, -히-, -리-, -기-
사동형 : -이-, -우-, -기-
7.존대
-(으)시-, -세-, -요
8. 추측
-겠-
9. 종결(종결어미)
평서문 : -다,-요,-네
감탄문:-구나
의문문 : -냐,-니, -디, -는가, -나, -ㄹ까, -오/요
명령문 : -(아,어,거)라, -게, -야지, -오, -ㅂ시오
청유문 : -자, -(으)라
10. 비종결 문장어미(연결어미)
대등연결어미 : -고, (으)며, -(으)나, -지만, -거나, -든지
종속연결어미
인과 : -니까, -(아,어)서, -므로
동시/순서 : -면서, -고, -다가
조건/목적 : -면, -(아,어)야, -려면, -려고, -게, -더라도
11. 파생
명사형 : -기, -이
관형형 : -은, -ㄴ
부사형 : -게
3) 구문 분석
구, 절, 문장 등을 이루는 능력을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를 습득하고 있는지 평가한다
1. 명사구
지시관형사
수량관형사
성상관형사
2.동사구
어말어미
종결 : 평서형, 의문형, 감탄형, 명령형, 청유형
비종결 : 연결어미, 전성어미, 명사형어미
신어말어미 : 존대, 시제, 서법, 강조, 피동
3. 절
명사절
서술절
관형절
부사절
인용절
4. 문장종류
평서문
의문문
명령문
청유문
부정문
[출처 -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]
'언어치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유아 언어발달 검사 SELSI (0) | 2022.08.31 |
---|---|
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평가 - 화용론적 능력 (1) | 2022.08.30 |
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평가 - 음운론적 능력 (0) | 2022.08.30 |
문법 단위의 개념 (1) | 2022.08.29 |
내용어와 기능어 (0) | 2022.08.29 |